반응형 전체 글96 폐배터리 REUSE 정의와 충전용 ESS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재활용하는 폐배터리 앞으로 5년 안에는 폐 리튬 이온 배터리가 대량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차의 엔드 오브 라이프는 대략 80% 정도 용량이 남아 있을 때부터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그러면 대략 한 십년 전후에 폐배터리가 대량으로 발생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아까운 자원입니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80% 정도 용량만 남아도 사용이 불가능해지는데,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전지에 저항이 올라갑니다. 전지 저항이 올라가면 출력이 떨어지게 되어 전기차의 주행 거리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ESS와 같은 출력이 적어도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EUSE의 컨셉은 전기차용 배터리를 출력이 덜하거나 사양이 덜한 이후에 쓰는 것 뿐만 아니라,.. 2023. 4. 24. 2차전지의 필수 요소 ‘리튬’의 중요성 IT 산업을 시작으로 ESS, 전기차까지 그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배터리 시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다. AI, IoT,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 정보통신기기와 전기자동차 산업 분야 성장의 동력원으로 ‘이차전지’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 세계 기업들은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2차전지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고자 기술개발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차전지의 유형 1차 전지는 일회용이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건전지나 알칼리 전지 등입니다. 반면에 2차 전지는 충전이 가능하고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니켈계나 리튬이온 배터리 등이 전기차, 스마트폰, 노트북의 배터리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전지는 고용량, 경량화, 소형화된 리튬이.. 2023. 4. 21. 전기차 배터리는 소중한 자원.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전기차 배터리는 소중한 자원 전기차 배터리는 소중한 자원이며, 재활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 저감 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완성차업계는 내연기관 사업 모델의 축을 전기차로 옮기는 추세이며, 전기차가 친환경 이동 수단으로 주목받으면서 글로벌 판매량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곧 전기차에서 배출되는 ‘사용 후 배터리’가 함께 늘어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사용 후 배터리는 폐기물이 아닌 소중한 자원으로 다시 쓸 수 있으며, 폐배터리 시장은 점차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환경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사용 후 배터리 배출은 오는 2030년까지 10만여 개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배터리 시장전망 전기차 배터리는 자원이 희귀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매우.. 2023. 4. 20. 전기차 배터리 폐기물 문제와 대안: UBESS 전기차 배터리 폐기물은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차 시장이 급격한 성장을 이어가면서, 전기차 배터리 폐기물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는 보통 7~10년의 수명을 가지며, 초기 용량 대비 70% 수준 이하가 되면 주행거리가 감소하고 충전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교체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약 11만 개의 폐배터리가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폐기물은 토양·지하수 오염, 폭발이나 유해가스 방출 가능성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배터리 폐기물은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배터리의 잔여 용량을 활용한 'UBESS(Us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가 주목받.. 2023. 4. 20. 이전 1 ··· 19 20 21 22 23 24 다음 반응형